반응형
청년의 자산형성을 돕기 위한 금융정책의 일부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6월 중 출시예정이므로 미리 알아보고 목돈 마련해보도록 살아봅시다.
목차
신청대상
만 19~34세 청년 중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
개인소득은 6,000만원 이하, 가구소득은 중위 180% 이하입니다.
1인 가구 | 3,740,206원 |
2인 가구 | 6,221,079원 |
3인 가구 | 7,982,669원 |
4인 가구 | 9,721,735원 |
지원내용
본인 납입금과 정부 기여금 그리고 이자로 5년 만기 자산형성을 돕는 방식입니다.
본인 납입금은 매달 70만원 한도로 자유납입 방식이며, 정부기여금은 본인 납입금에 비례한 금액을 지원합니다.
이자소득에 대해서는 3년 이상 고정금리(3~6%) 및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.
개인소득 | 기여금 지급한도(월) | 기여금 매칭비율 | 기여금 한도(월) |
2,400만원 ↓ | 40만원 | 6.0% | 2.4만원 |
3,600만원 ↓ | 50만원 | 4.6% | 2.3만원 |
4,800만원 ↓ | 60만원 | 3.7% | 2.2만원 |
6,000만원 ↓ | 70만원 | 3.0% | 2.1만원 |
신청방법
6월 중 추후 공고될 금융기관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
특이사항
청년내일저축계좌, 내일채움공제, 지자체 상품 등 복지상품과 고용지원 상품은 동시 가입이 가능합니다.
다만, 청년희망적금은 중복 가입이 불가하니 순차 가입을 권유드립니다.
반응형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지원금] 최대 50만원 혜택의 2023 경기도 청년면접수당 당장 알아보기 (0) | 2023.05.31 |
---|---|
[지원금] 경기 청년이라면 꼭!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(0) | 2023.05.19 |
[지원금] 놓치면 아쉬운 청년내일저축계좌, 한번에 알아보기 (0) | 2023.05.19 |